Institute of East and West Studies • Yonsei University

기타 출판물

제목
중국 조선족의 중간 집단적 성격과 한중관계
출판사
백산자료원
저자
ISSN 97889-88435-99-1 발행일 2007-08-20
페이지수 조회수 3306
글쓴이 관리자 등록일 2007-08-20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의 중간 집단적 성격과 한중관계의 역동성'을 대주제로 하였으며 일곱 명의 분야별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간략한 소주제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장 중국 조선족의 정체성 형성 및 구조(정상화)는 정체성과 소득, 교육, 거주지 등 사회경제적 변수 및 기타 감정적, 인지적 및 행태적 매개 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제2장 조선족에 대한 한중간 역사적 시각차 분석(김우준.정갑영)은 조선족 문제의 인식을 역사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선족의 기원을 고찰한 후 한국의 재외동포법 및 동북아 허브국가 구상, 남북한 관계, 중국의 삼관정책 및 동북공정에서 조선족 문제가 왜 쟁점이 되는지를 논의하였다. 또한 연변조선족자치주인 간도영유권 문제가 앞으로 중국의 조선족 정책과 한중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전망하였다. 제3장 조선족 문제에 대한 한중인식 비교(김예경)는 조선족을 둘러싼 양국의 연구자, 연구 주제 및 연구 접근방법을 내용분석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제4장 문화민족주의가 한중관계에 미치는 영향(전설매)은 주로 탈냉전 시기의 한중 관계의 발전을 중심으로 한 국가 관계와 조선족을 핵심으로 하는 민간관계 그리고 민족의식의 강화가 한중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제5장 한중 경제교류가 조선족 경제에 미친 영향(이두원)은 조선족이 한중 경제교류에 기여한 역할과 한중 경제교류가 조선족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6장 중간집단으로서의 조선족과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최동익)는 조선족 종업원들이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에서 갖는 인사관리적 특성을 경영학적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7장은 중국 조선족 민족과 교육발전의 현황 및 대책(정신철)은 중국에서의 조선족 교육의 문제를 중국의 정치적 환경이라는 보편성과 조선족 민족교육이라는 특수성을 축으로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조선족 사회의 인구변화 및 이동과 조선족 민족교육의 지역적 분포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현 민족교육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논의하였다.
조선족 사회는 중국의 개혁개방과 한중 수교 이후 많은 변화를 보여 왔다. 경제발전과 한국이라는 모국의 등장은 조선족 사회의 유동성을 급격히 증가하였다. 현재 한국 노동시장에의 진출과 경제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는 중국 동부 연안 및 남부로의 이주로 인하여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는 심각할 정도로 진행되고 있다. 중국 정부도 소수민족에 대한 교육 및 문화 사업에의 지원을 줄이거나 없애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이 되는 조선족 사회의 변화는 일종의 학문적 그리고 정책적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제1장 중국 조선족의 정체성 형성 및 구조 / 정상화(연세대학교 경제학부 BK21 연구교수)

제2장 조선족에 대한 한.중간 역사적 시각차 비교 /
김우준(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정갑영(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제3장 중국 조선족연구의 한.중 비교 : 연구기관, 연구자 및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
김예경(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전문연구원)

제4장 문화민족주의와 중한관계의 발전 및 변화 / 전설매(북경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

제5장 한중경제교류가 조선족 경제에 미친 영향 / 이두원(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제6장 중간집단으로서의 조선족과 한국기업의 對중국 투자 / 최동익(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제7장 중국 조선족 문화와 교육발전의 현황 및 대책 /
정신철(중국사회과학원 대학원 교수, 민족학.인류학 연구소 연구원)
이전글 동아시아 지역의 해운과 해로안보
다음글 동북아공동체 형성과 한.일 대학의 역할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